메뉴 엔크루 | 웹3 엔터와 게임

    한국어 English 日本語 中文
기획 분류

P2E, 국내 성장 위해선 '거래소' 등 가상화폐 이슈와 멀어져야

컨텐츠 정보

본문

기획1.jpg

 

전 세계적으로 P2E 게임 시장이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시작 단계에서부터 이렇다 할 확장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사행성 게임과 궤를 같이 한다는 정부 당국의 입장이 요지부동이기 때문에 더더욱 이런 시장 활성화가 더딘 상황이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업계에선 P2E 게임에 대한 인식 자체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가상화폐와, 더 나아가 거래소와 연관이 될 수 밖에 없는 현재 국내 P2E 게임들의 이슈 구조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글로벌에서는 국내 P2E 게임들이 '단순 P2E 요소뿐만 아니라 게임 자체의 완성도와 재미도 가지고 있는 작품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사행성'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러 커뮤니티와 SNS 등을 통해서도 P2E 게임에 대한 규제 완화 여론이 형성되기 어려울 정도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은 상태이며, 이러한 이유의 가장 큰 원인은 '가상화폐 등 투기성 상품과 연계되어 있을 것 같은 이미지'가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다.


특히 P2E 시스템과 연계돼 있는 가상화폐, 그리고 해당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 이슈가 최근에도 계속되면서 P2E 게임에 대한 인식 개선은 더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언론에서는 '가상화폐는 최근 급등했는데, P2E 주가/관련 가상화폐는 왜 잠잠한가'라는 기사를 쓰는 등 인식 개선에 도움을 주기는 커녕 악재를 양산해내고 있는 형국이라는 지적이다.


기획2.png


이에 대해 P2E 업계 관계자들은 근본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해 최소한 거래소 등과 관련한 사행성 이슈와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P2E 시스템의 이유로 가상화폐 부문을 완전히 떨쳐낼 수는 없지만, 그래도 거래소 이슈와는 최대한 멀어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미 재화 및 아이템에 대한 환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아이템베이' '아이템매니아' 등의 업체등이 있지만, 기존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약관 등을 통해 이를 최소한 표면적으로는 금지하면서 이미지 조성 등에 있어서는 '선'을 확실히 긋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은 몰라도, 국내에서는 이미 사행성 이슈로 주홍글씨가 쓰여진 상황이기에, 정부가 나서서 규제 완화를 해주지 않는다면 시장에서 자체적인 이미지 메이킹 작업이 필요하다"며 "최소한의 커뮤니티가 형성이 될 수 있을 정도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한주의 인기기사


전체 77 / 1 페이지
RSS

커뮤니티


인기기사


많이본 리뷰


출시예정


알림 0